1. 본인의 연구에 대해서 대략적인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는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에 재직 중인 이인호입니다. 저는 인간형 로봇, 사족보행 로봇과 같은 시스템의 자율운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행(Locomotion-[3]), 조작(Manipulation-[4,2]), 전신동작(Whole body control-[5]), 환경인식(Environment awareness-[1]), 동작계획(Motion Planning[1,3])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09년 석사과정을 시작한 이래로 저의 첫 연구는 사족보행 로봇의 외란복원제어(Push recovery)였습니다. 당시 Boston Dynamics사의 Big Dog의 놀라운 보행기술을 동경하며 정말 많은 실패와 교훈을 얻었습니다. 이후 박사과정 동안은 DARPA Robotics Challenge에 참여하기 위해 연구실 선배님들이 개발한 기존 Hubo2를 개선하여 DRC-HUBO, DRC-HUBO+를 개발하였습니다. 인간형 로봇 DRC-HUBO+의 작업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전신동작을 위한 기술들을 연구하였습니다. 박사학위 수여 후 The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IHMC)에서 약 4년간 Boston Dynamics의 Atlas 로봇, NASA JSC의 Valkyrie 로봇, NASA JPL의 LLAMA로봇, 새로운 유압 로봇 Nadia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습니다. 현재는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다시 사족보행 로봇(canine)을 연구/개발하고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Mov 1. 부산대학교가 개발한 사족 보행 로봇 canine의 경사 보행 실험
4. IHMC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체조선수로 이름을 딴 Nadia라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특징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이 되었나요? Nadia 로봇 개발을 시작하기 전까지 IHMC팀은 사실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위주의 팀이었습니다. 리더인 Dr. Jerry Pratt의 의견에 따라, IHMC팀이 개발한 인간형 로봇 제어 프로그램은 극한의 Object Oriented Programming(OOP)이 적용되어 URDF를 포함한 몇 가지 로봇의 고유 특성에 대한 정보만 변경하면 모든 인간형 로봇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잘 적용된 전신 동작 제어와 보행 제어 기술 덕분에, 다른 연구기관들의 인간형 로봇 제어에 활용되었는데요, 그것이 NASA JSC의 Valkyrie로봇과 Walt Disney Imagineering의 Kiwi 로봇 입니다. 하지만 팀 내적으로는 하드웨어를 직접 개발하지 않은 탓에 팀 성장과 소프트웨어 위주의 로봇 개발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습니다. 보다 다양한 임무와 퍼포먼스를 내고 싶지만 독자적인 하드웨어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점을 매우 아쉬워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시작된 프로젝트가 Nadia 로봇 개발 프로젝트입니다. 1차적인 목표는 Boston Dynamics의 1세대 Atlas로봇(DARPA Robotics Challenge에 활용된)의 성능을 만족하고 보다 넓은 Range of Motion(RoM)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https://spectrum.ieee.org/ihmc-developing-new-gymnastinspired-humanoid-robot, https://spectrum.ieee.org/ihmc-nadia-humanoid-robot). 현재는 시스템 개발이 완료되어 IHMC가 자랑하는 인간형 로봇 제어 프로그램인 Avatar 시스템이 적용 되었고, 기존 Atlas로봇과 마찬가지로 보행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영상 참조). 추가로 저번 주에는 동료 Dr. Sylvain Bertrand로부터 Running실험에 성공하였다는 소식도 접하였습니다. Mov 3. Nadia 로봇
7. 많은 분들과 같이 연구를 진행해 오셨는데요. 그 동안 영향을 받은 연구자가 많으실 거 같습니다. 어떤 연구자 분들의 어떤 영향을 받으셨는지 궁금합니다.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연구자는 당연하게도, 저의 지도교수님이신 오준호 교수님입니다. 교수님에게서 배운 가장 큰 장점은 넘치는 에너지와 집중력입니다.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의 본질부터 파악하고 해결하는 자세와 폭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배웠습니다. 제가 어느 문제에 부딪힐 때마다 교수님의 철학을 되새기며 전진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큰 영향을 받은 연구자는 Dr. Jerry Pratt입니다. MIT에서 Flamingo로봇을 혼자의 힘으로 개발하고 제어하였고, 시뮬레이션이자 로봇 제어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한 놀라운 풀스택(full-stack) 로봇 연구자입니다. 하지만 그분의 이러한 탄탄하고 높은 수준의 실무 능력보다 더욱 본받고 싶은 점은 팀을 만들고 이끄는 리더십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희 연구실 내의 문화와 시스템은 Jerry Pratt과 함께 하였던 시간을 깊이 참고하여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한국사람 하나 없는 Pensacola에서 즐겁고 의미 있는 시간을 함께 해준 동료들(Robert Griffin, Sylvain Bertrand, Stephen McCrory 등)에게 감사하며 그들에게서 받은 따뜻함을 학생들에게 전해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8.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저는 로봇 연구자는 일종의 서비스직이라고 생각합니다. 로봇 시스템은 여러 요소기술이 집약되어 목표로 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만약 그 시스템이 보다 범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정말로 많은 요소기술들이 어우러져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연스럽게도 이를 위해 여러 사람과의 협업이 필요합니다. 제가 기여한 파트는 동료가 작업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활용이 되기도 하고 일부분이 되기도 하며 심지어는 비교군으로서 참고가 되기도 합니다. 이는 로봇 시스템이 목표한 임무 수행을 위해 제가 맡은 부분은 동료들에게 서비스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기여한 부분이 잘 활용되어 동료들에게 도움이 되고 궁극적으로 임무 수행에 성공하게 되면 그것이 그토록 기쁘고 보람찼습니다. 시스템을 완성하여 하나의 마침표를 찍었다고 생각이 들 때면 저 혼자가 아닌 함께한 모두와 다 함께 성장했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가장 행복했습니다. 실제로 DARPA Robotics Challenge Finals에서 8점을 얻었을 때 당시에 아직 뒷 순서의 팀 경연이 많이 남아 우리가 1등인지 10등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기뻐서 환호성이 나온 이유는 저와 동료들 모두가 몰두한 시스템이 목표를 다 이루었다는 점 하나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9. 이 분야로 진학(사업)하려는 후배들에게 조언해 주신다면? 개인적으로 저는 로봇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자신 있는 분야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 학생들에게도 늘 강조하고 요구하고 있는 점인데요,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단위 모듈을 보거나, 여러 방법론이나 기초 학문들을 보면 서로가 서로의 영감이 되고 이에 공통되는 철학이 있다고 느낍니다. 여러 분야에 대해 깨우침이 있다면 팀웍이 필요하고 강조되는 로봇 연구/개발 과정에서 동료와의 협업에 분명히 도움이 될 거라 기대합니다. 한 가지에 몰두하여 깊이 파고들어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방법도 매우 좋습니다. 중요한 점은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여러 요소기술이 필요한 로봇을 더욱 이해하고 잘 다루기 위해서 내가 현재 맡은 일 외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10.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메릭 또는 다른 연구자들, 후배들에게) 현재 재직중인 부산대학교에 와서 팀을 꾸리고 연구를 시작한지 어느 덧 여섯 개의 학기가 지났네요. 감사하게도 기계로봇연구정보센터의 인터뷰 질문에 답하며 그 동안의 시간을 돌아볼 수 있었고 앞으로 더 힘을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진하여 좋은 연구결과로 다른 연구자들에게 좋은 자극을 주는 연구자가 되겠습니다. * 이인호 교수의 최근(대표) 논문들 [1] Bertrand Sylvain, Inho Lee*, Bhavyansh Mishra, Duncan Calvert, Jerry Pratt, and Robert Griffin. "Detecting usable planar regions for legged robot locomotion."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IROS), IEEE, 2020. [2] Jorgensen*, Steven Jens, Michael W. Lanighan, Sylvain S. Bertrand, Andrew Watson, Joseph S. Altemus, R. Scott Askew, Lyndon Bridgwater Beau Domingue, Charlie Kendrick, Jason Lee, Mark Paterson, Jairo Sanchez, Patrick Beeson, Seth Gee, Stephen Hart, Ana Huaman Quispe, Robert Griffin, Inho Lee, Stephen McCrory, Luis Sentis, Jerry Pratt, Joshua S Mehling. "Deploying the nasa valkyrie humanoid for ied response: An initial approach and evaluation summary." IEEE-RAS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oid Robots (Humanoids), IEEE, 2019. [3] Griffin*, Robert J., Georg Wiedebach, Stephen McCrory, Sylvain Bertrand, Inho Lee, and Jerry Pratt. "Footstep planning for autonomous walking over rough terrain." IEEE-RAS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oid Robots (Humanoids), IEEE, 2019. (Best Paper Award) [4] Jeongsoo Lim, Inho Lee, Inwook Shim, Hyobin Jung, Hyun Min Joe, Hyoin Bae, Okkee Sim, Jaesung Oh, Taejin Jung, Seunghak Shin, Kyungdon Joo, Mingeuk Kim, Kangkyu Lee, Yunsu Bok, Dong?Geol Choi, Buyoun Cho, Sungwoo Kim, Jungwoo Heo, Inhyeok Kim, Jungho Lee, In So Kwon, Jun?Ho Oh*, Robot system of DRC?HUBO+ and control strategy of team KAIST in DARPA robotics challenge finals.?Journal of Field Robotics (2017) [5] Inho Lee, and Jun-Ho Oh*. "Humanoid posture selection for reaching motion and a cooperative balancing controller."?Journal of Intelligent & Robotic Systems (2016) |
- Balancing Control
- Whole body Motion Generation
- Environment awareness
- System development for legged robots.
전체댓글 0